Skip to main content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에 변화가 찾아오고 있다. 지금까지 반도체 설계자산(IP) 기술은 해외 기업에 의존도가 높았다. 지난 10년간 국내 팹리스 시장은 미국, 대만, 중국 등과 비교해 활력이 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국내 IP 시장도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국내에도 AI 반도체 성장과 더불어 글로벌 시장 경쟁에서 견줄 만한 기술력을 갖춘 IP 스타트업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LG전자 AI 반도체 설계 연구원들이 분사해 2020년 설립한 NPU(신경망처리장치) IP 기업 에임퓨처가 주인공이다.

김창수 에임퓨처 대표는 LG전자에서 7년간 AI 반도체 및 모바일용 IP를 개발하기 이전에도 여러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 실력과 실무 경험을 쌓아온 반도체 전문가다. 첫 직장으로 삼성전자 시스템LSI 부문에서 10여년간 근무한 후, 미국 산호세에 위치한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SSI)에 장기 파견됐다. 이후 김 대표는 1997년 IMF 직전부터 실리콘밸리에 정착해 케이던스, 시놉시스,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등 유수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에서 설계 경력을 쌓았다. 그는 2007년 H.264 4채널 인코더-디코더
시스템온칩(SoC)을 개발하는 회사 카이로스로직을 공동 창업하기도 했다.

에임퓨처가 개발하는 IP는 반도체에 들어가는 설계자산이다. 세계적인 반도체 설계회사인 영국의 ARM과 유사한 비즈니스라고 이해하면 쉽다. IP 업체의 고객사는 팹리스, 디자인하우스, 종합반도체기업(IDM) 등이 해당된다. 에임퓨처의 NPU IP는 AI
반도체 중에서도 엣지 컴퓨팅 시장을 겨냥한다. 스마트홈(가전), 스마트팩토리(공장자동화), 로보틱스, AR/VR 헤드셋, 드론 등이 대표적 시장이다.

에임퓨처 연구원들이 LG전자 소속 당시 개발한 IP ‘뉴로모자이크’는 LG전자 오브제컬렉션 무드업냉장고와 세탁기를 구동하는 AI 반도체에 탑재되면서 기술력과 안정성을 이미 입증받았다. 이후 홀로서기를 한 에임퓨처는 독자 개발한 신제품 NPU IP
2종을 올해와 내년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 지디넷코리아